어디서든 내 작업 환경 그대로 쓰고 싶다는 생각, 아마 다른 분들도 한 번씩 있지 않으셨나요?

또는 윈도우를 깨끗하게 포맷하고 새로 시작하고 싶은데.. 쌓여 있는 자료들 때문에 엄두가 안 난 경험도 다들 있지 않으신가요??

저는 강좌를 제작하다 보니, 처음 시작하는 분들과 같은 환경에서 테스트할 필요도 있었어요.

그래서 생각했어요. "차라리 윈도우를 USB에 설치하면 되지 않을까?"

마침 남는 외장 SSD도 있었고요.


예전엔 고가였던 SSD가 요즘은 가격도 착해졌잖아요.

이걸로 포터블 윈도우 환경을 만들어보기로 결심했죠.


예전엔 이런 걸 위한 WinToGo라는 공식 기능이 있었는데 이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지원을 중단했더라구요.

그래서 대체할만한 도구를 찾다보니 Rufus, WinToUSB 같은 선택지가 있었고 저는 그중에서 WinToUSB를 사용해봤어요.



1. 포터블 윈도우? USB에 윈도우를 설치하면 좋은 점

우선 포터블 윈도우를 설치하기로 결심하고 좋은 점을 생각해봤어요.

1) 어디서든 동일한 작업 환경을 쓸 수 있다.

윈도우를 단순히 usb드라이브에 쓰는 것이 아니라 다른 CPU, 다른 그래픽 카드, 다른 RAM 등 하드웨어 환경이 달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해요.

그래서 언제든 동일한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게 매력적이예요.


개발을 하는 경우에도, IDE 설정을 개인적으로 바꿔 사용하는데 이런 설정을 매번 다른 PC를 사용할 때마다 맞춰줄 필요가 없어 좋더라구요.

*IDE: 통합 개발 환경으로, 코딩과 디버깅을 한 곳에서 할 수 있는 도구
          java 개발에서는 대표적으로 eclipse, intellij를 사용한다.

2) 클린 윈도우 환경을 유지 할 수 있다.

인터넷 뱅킹을 하기 위해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오히려 컴퓨터가 느려지고, 보안에 더 취약해지는 아이러니(!?)를 경험해본 적이 있는 분들은
직접 쓰는 환경에서 작업하지 않고, 윈도우 샌드박스와 같은 가상 환경에서 거래를 하시더라구요.

근데, 샌드박스는 매번 사용할 때마다 초기화 되니.. 오히려 윈도우를 외부에 설치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연결하면 좋겠더라구요.

3) 외부에서 사용할 때 개인정보 걱정을 안해도 된다.

매번 컴퓨터를 들고 다닐 수도 없을 때 외장SSD를 가지고 다니면,
다른 PC에서 개인정보가 남을 걱정 없이 바로바로 쓸 수 있어서 편리해요!

2. 외장 SSD에 윈도우를 설치하는 방법

1) 준비하기

- 외장SSD: HDD보다 외장 SSD를 추천합니다. 저는 m.2 외장 ssd를 사용했어요.
- usb 3.1 포트와 케이블: 외장SSD 처리 속도가 빨라도 케이블이 느리면 의미가 없어서 usb 3.0 이상의 포트와 케이블을 사용해주는게 좋습니다 :)

2) WinToUSB 설치

무료 버전을 사용해도 충분한 것 같아서, 무료 버전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hasleo software 홈페이지 중, win to usb 설치 파일 다운로드 페이지. win to usb의 간략한 제품 소개 이후, 제품 무료 다운로드 버튼과 유료 버전 구매를 위한 upgrade 버튼이 있다.

2-1) 설치 파일 다운로드
https://www.easyuefi.com/wintousb/index.html에 접속한 뒤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해주세요.

2-2) 설치 파일 실행
다운로드 된 WinToUSB_Free.exe를 실행해줍니다.

첫 설치 화면으로 설치 언어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현재 사진에 선택된 언어는 한국어이다.

설치 언어 선택이 나오는데, 저는 한국어를 선택했어요.


다음 사용권 계약을 읽어보십시오. 설치를 계속하기 전에 이 계약 조건에 동의해야합니다. 라는 문구 아래에 약관이 영문으로 작성되어 있다. 이 약관 아래로 '동의합니다. 동의하지 않습니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라디오 박스가 있다. 사진에서는 동의합니다를 선택한 상태이다.

이후에는 절차에 나오는대로 그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3) 설치된 프로그램 실행


방금 설치한 Hasleo WinToUSB 프로그램을 실행해줍니다.

4) Widows To Go USB 선택 후 작업하기

4-1) 설치된 WinToUSB를 실행합니다.


4-2) 실행되면 첫 화면에서 Windows To Go USB를 선택합니다.



4-3) 설치 소스 선택에서 기존의 windows OS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새로운 windows ISO를 다운로드 하겠습니다.




4-4) 다운로드할 Windows 버전을 선택하고, 저장 위치를 선택한 다음, 계속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기다리면..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 됩니다.



4-5) 다시 Home으로 돌아가서 Windows To Go USB를 선택합니다.


4-6) 좀 전에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파일을 소스로 선택하고, 
설치하고자 하는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이때, 외장 드라이브를 잘 선택해주세요!



4-7) 포맷 경고창이 나옵니다. 자료가 모두 삭제된다는 점을 인지하시고, 예를 누르시면 됩니다.



4-8) 설치가 진행되고, 완료가 되면 성공입니다.

5) 부팅 순서 변경하기

5-1) 컴퓨터를 종료하고 재시작합니다.
재시작할 때 BIOS 설정에 접속해줍니다.
(일반적으로 F2 또는 Del 를 누르면 진입 가능합니다)



5-2) 부팅 순서를 외장 SSD가 우선 되도록 수정하고 재시작 해주세요.
제 경우 XPS 15 9560, DELL 노트북이라서 Boot Sequence를 수정했습니다.



5-3) 절차대로 설정해주고, 업데이트까지 완료하면 됩니다.


3. 사용 후기

1) 자동 로그인

- 다른 PC에서 사용할 때 일부 자동 로그인이 작동 하지 않습니다. (예: 카카오톡)
- 노션, 피그마 자동 로그인은 정상 작동 합니다.

2) 절전 모드 사용 불가

- 노트북 절전 모드를 사용하면 USB 전원이 차단되어, 문제가 발생합니다.
- 따라서 노트북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설정은 끄고 사용해야합니다. 그렇지않으면 블루스크린이 발생합니다.

3) 듀얼 모니터 사용 불가

- 일부 모니터의 경우, 제대로 인식되지 않아 듀얼모니터 사용이 제한 되었습니다.


4. 마치면서

이제 블로그 작성만을 위한, OS환경이 구축되었습니다.
그동안 공부한 개발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했는데,
그 시작을 간단한 IDE 설치부터 작업환경 셋팅에 대한 내용으로 시작하고 싶었어요.

그런데.. 이미 제 환경은 모두 구축되어있어서 작성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ㅠㅠ

오늘 윈도우 환경을 새로 설치하였으니..
이제부터 그동안 공부하던 것들을 다시 초기화된 OS에서 직접 경험하며 포스팅하려합니다 :)

감사합니다.